728x90
반응형
SMALL

서영준 4

뿌리깊은나무, 사대부로 각성한 심종수와 개파이의 변신?

한글의 원리를 설명한 훈민정음 해례를 읽어 보면 세종이 상당한 수준의 유학자란 사실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오행에 맞추어 자모음을 설명하고 그 이치를 따진 그 글은 다양한 문장에 익숙한 현대인들이 읽어봐도 쉽게 만들기 힘든 명문입니다. 극중 관료들의 말대로 실제 세종대왕은 유학자로서 최고 경지에 이른 인물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또 세종은 평범한 유학자들과는 다르게 '명분'을 추구하면서도 실리를 따지는 면모를 보였던 왕이기도 합니다. 장자 상속을 하라며 양녕의 등극을 주장하던 황희(전성환)가 세종에게 등용된 건 그런 세종의 성격을 아주 잘 보여줍니다. 극중 조말생(이재용)도 명분을 따지자면 진즉 내쳤어야 옳치만 조말생은 병조판서를 맡아 대마도를 정벌하는 등 군사적으로 유능한 인물이었습니다. 드라마 '뿌리깊..

뿌리깊은나무, 진짜 보수주의자 조말생에게 보기좋게 속아버린 정기준

경복궁에서 왕이 주로 거처하며 사용하던 공간은 강녕전, 경성전, 연생전입니다. 중앙에 가장 크게 위치한 강녕전은 침소 역할을 하긴 했지만 주로 업무를 보며 신하들을 만나거나 연회를 베풀던 곳입니다. 서쪽에 있는 곳이 이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서 한글 창제를 위한 공간으로 쓰이는 경성전(慶成殿)입니다. 경복궁이 왜란으로 전소되어 세종 당시엔 어떤 모양이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극중에 등장한 이층의 원형 공간이 나오기는 힘들어 보이는 곳이죠. 왕이 사적으로 책을 읽거나 침수들 때 이용한 전각이 경성전으로 이 전각들의 이름을 지은 것은 극중에 자주 등장하는 정도전입니다. 한글에 대한 기록이 처음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한 것은 1443년 음력 12월입니다. 그전에는 세종이 글자를 만들려 했다든가 만들라..

뿌리깊은나무, 가슴 뜨끔해지는 세종 이도와 정기준의 맞장 토론

흔히 자식잃은 사람의 슬픔을 '애가 끊어지는 듯하다'는 말로 표현합니다. '애'라는 단어는 창자를 표현하는 우리말이고 '애끊다'는 매우 슬퍼서 창자가 끊어지는 듯하다는 뜻이죠. 그 어떤 말을 써도 자식이 죽는 아픔을 충분히 나타낼 수는 없을 것입니다. 더군다나 그 자식이 병이나 사고로 죽은 것도 아니고 아비가 하고자 하는 일을 함께 도모했다는 이유로 살해당한 것이라면 부모는 자식의 죽음이 내 탓인듯 그 업보를 지고가게 되는 것입니다. 숨이 끊어질 듯 마음대로 울지도 못하고 꺽꺽, 피토하듯 우는 세종 이도(한석규)를 보면 자식잃은 고통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듯합니다. 많이들 알고 있는 대로 세종에게는 자녀가 많았습니다. 총 18남 4녀의 자녀를 두었고 본처인 소헌왕후의 자녀 중 정소공주와 광평대군은 일찍 죽..

뿌리깊은나무, 세종은 궁녀와 겸사복의 사랑을 허락할까

아무리 이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가 창작을 기본으로 한 팩션이라도 피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 있습니다. 바로 세종(한석규)의 곁에서 한글 창제를 돕는 것으로 묘사된 광평대군(서준영)이 죽는다는 것입니다. 이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1443년에 한글이 공개되고 1444년에 광평대군이 죽었습니다. 20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요절한 이 왕자는 극중에서 누구 보다 아버지 세종의 뜻을 잘 이해하고 격려하는 자녀로 등장합니다. 아무래도 예고편에서 개파이(김성현)가 광평을 노리는 것으로 보아 세종은 한글 창제를 위해 자식까지 잃어야 했던 고통스런 군주가 될 모양입니다. 때가 어느 때가 되었던 광평대군의 죽음이 예정된 사실이듯이 1450년에 숨을 거두는 세종의 운명도 정해진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문치(文治)'의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