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와 문화

태종 이방원, 강씨의 경처의 배신과 이방원의 분노

Shain 2022. 1. 9. 20:15
728x90
반응형

태조 이성계가 받아들인 숙명은 무엇일까요. 이미 아주 오래전에 자신의 숙명을 받아들여 왕이 되기로 결심한 삼봉 정도전(이광기)과 그의 무리들 - 기세 좋던 처음과는 다르게 '자신은 나약한 혁명가'일뿐이라며 자신의 한계를 분명히 밝혔습니다. 이성계(김영철)가 기세 좋게 치고 나가며 이젠 기력이 쇠한 공양왕(박형준)을 쳐내겠죠. 지난번에 이성계는 이방원이 정몽주(최종환)를 습격하자 정몽주는 한마디 말도 못 남기고 철퇴에 맞아 죽었습니다. 삼봉 정도전의 죽음을 두고 극 중 이방원(주상욱)과 정도전은 매우 안타까워하지만 결국 그게 끝이었습니다. 조금 있으면 고려는 완전히 무너지고 새로운 나라가 들어설 것입니다. 앞으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갈까요. 이성계가 말한 숙명에는 그들의 죽음도 포함되어있을까요.

 

강씨는 계략을 꾸며 이방석을 왕위에 올린다

 

아직까지 이성계는 완전히 날개를 펴진지 못했습니다. 이방원은 여태 날개도 펴지 못한 어린아이고 지금은 정도전의 시대입니다. 정몽주의 죽음을 뒤로하고 이성계는 앞으로 나아가기로 합니다. 이제 고려 왕조의 앞길을 막을 자들은 사라졌고 이제는 새로운 사대입니다. 버티고 버티던 대비(김보미)는 협박에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공양왕(박형준)은 세자와 함께 강화도로 떠납니다. 어차피 고려가 망했고 우왕(임지규)이 물러날 때 때가 다 됐구나 싶었지만 그래도 대비와 의지하며 상황을 버텨보려 했던 공양왕입니다. 그렇지만 공민왕은 무력으로도 정치적으로도 이미 힘에 부치는 상황이었습니다. 공민왕이 물러나자 백성들은 새 임금으로 이성계를 추대합니다. 두어 번 사양했지만 그것은 형식적인 거절일 뿐 그때 이미 새 왕조를 준비하고 었습니다.

 

 

 

 

 

방석은 한씨의 입김에 따라 세자가 되고

 

검색해 보시는 분들 중에 경처와 향처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해하시는 분이 있는데 별 뜻이 아닙니다. 경처(京妻)란 쉽게 말해 서울 출신 아내를 뜻하는 거고 향처(鄕妻)란 고향에서 데려온 아내를 뜻합니다. 이성계는 당시 동북면이 아닌 다른 곳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 서울이 아닌 다른 곳 출신 아내를 두곤 했습니다. 당시 경처의 위세가 더 등등하고 재력이나 무엇으로도 경처가 더 뒤를 받쳐줄 만했다고 하죠. 실제로 사람들도 더 든든했습니다. 향처인 한씨(예수정)가 죽지 않았어도 세력은 자연스럽게 이성계와 서경에 근거지를 둔 사람들에게 모이게 되어 있었습니다. 그 때문에 힘을 가진 경처 주변에 사람들이 모일 수밖에 없었죠. 이미 부인을 둔 민씨(박진희)만 해도 경처 강씨(예지원)을 중심으로 몰려든 사람들입니다.

 

이미 며느리에 사위까지 둔 이성계 식구들

 

그렇게 미리 판 판을 깔아둔 강씨는 다음 작업으로 세자를 결정하기로 합니다. 이미 이방원(주상욱)을 비롯한 아들들은 미움을 받아 쫓겨난 상태고 곁에는 미움받는 아들들 외에 이방석, 이방번, 경순공주만 있었습니다. 극 중에서 별안간 강씨(예지원)는 자신을 욍비로 책봉하지 말아 달라 합니다. '자세를 최대한 낮추지 않는다면 목숨을 부지하기 힘들게 된다'는 말은 혹시나 정권에 문제가 생기면 자신을 보호해 달라는 뜻입니다. 이미 이방원을 한방 먹일 준비가 되어 있었던 거죠. 아버지의 말을 거역하는 자식을 미워하는 것은 어느 집이나 마찬가지지만 극 중 강씨는 그 문제를 아주 영리하게 이용합니다.

 

정몽주에 대한 테러는 극중 이방원과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조치였습니다. 한자리까지는 바라지 않았어도 토사구팽은 생각도 못했던 아들들을 쫓아내고 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합니다. 아들들의 파워가 필요하니 이용해 먹고 쓸모가 없어지니 버린 셈입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이성계에게 그렇게 쫓겨납니다. 강씨는 자신을 편들어 달라는 요청에 그러겠다고 대구 했고 이방원은 철석같이 그 약속을 믿고 있었습니다. 덧붙여 이성계(김영철)는 세자 책봉을 반대하는 대신들을 고려해 조정에 강씨를 불러들입니다. 이성계의 말발(?)을 믿을 수 없었던 걸까요. 적장자가 적절하다는 말에 방과를 권하기도 하고 정치에는 부적절하다는 말에 방원을 권하기도 합니다. 이성계는 못마땅한 그 말에 못마땅한 기색이 역력하죠.

 

이성계는 강씨의 뜻에 따를 생각이었다

 

여기 기록된 내용중 '임금이 강씨(康氏)를 존중하여'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경처는 다른 아들들을 모두 무시할 생각이었을까요. 드라마에 나온 것처럼 모든 사람들이 눈치를 본 것은 아니지만 당시 강씨를 워낙 강하게 지지하여 이방원은 뜻을 꺾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미 태종 이방원은 입김 있는 아들이었고 그는 쉽게 꺾을 수 있는 세력이 아니었습니다. 더군다나 이미 장성한 왕자들이 있는데 그들을 두고 다른 사람을 지지한다는 게 쉽지는 않은 일이었죠. 그때도 이미 이방원은 지지 세력이 강한 상황이었습니다. 본인이 예견한 대로 생모의 자리를 빼앗은 계모가 되어 힘든 자리싸움이나 해야 하겠죠.

 

 

 

 

 

이방원의 힘든 싸움도 곧 시작될 것이다

 

이방원은 첫회에 아이들이 살아남은 것을 기뻐하며 환하게 웃었습니다. 그때는 모두 화목했고 식구들이 많아도 다툼이 없어보였죠. 그런데 왕위 다툼이 시작되면 그런 평화로운 시절은 꿈같은 이야기가 되고 맙니다. 개인적으로 이방과(김명수) 같은 인물을 가장 현명하다고 보는데 그렇게 갈등하면서도 왕위를 동생에게 물려주고 평화롭게 물러갑니다. 동생과 그릇이 애초에 다르다는 것을 파악한 것입니다. 이성계가 가장 잘못한 것은 왕위 다툼을 우습게 보고 자신의 힘으로 단속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죠. 자신보다 힘이 센 아들이 등장하면 못났고 잘났고를 떠나서 일단 거스르고 싶은 게 사람 심리입니다. 이방원에게 남들이 아무리 잘했다고 창찬해도 이성계에게는 못난 아들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제는 남은 형제들을 다 죽이거나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이방원은 이성계를 원망이 서린 눈으로 바라보지만

 

살아있을 때 선위한 왕은 사실 거의 전무합니다. 대부분 물려주기를 무서워했죠. 평화롭게 선위하고 물러나는 왕 - 그 모습을 바랐기 때문에 마지막에 태종이 끝까지 현명하지 못한 왕에게 한번더 실망하나 봅니다. 장성한 아들이 몇인데 왜 그런 결정을 내린 것일까요. 반란을 일으켜도 사람 수 만큼 일으킬 왕자들이죠. 위화도 화군 4년만에 결국 이성계는 왕좌에 오르고 강씨는 정비로 이방석은 세자로 책봉됩니다. 결국 이 갈등은 끝내 정도전을 비롯한 여러 인물들의 죽음을 몰고 오게 됩니다. 당시 이미 꽤 나이가 들었던 이성계를 원기 왕성한 이방원을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일까요. 안타깝지만 이 부분 역시 역사겠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