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속 문화 읽기

'셜록' 더빙논란, 한국어 더빙이 촌스럽다고?

Shain 2014. 1. 7. 13:06
728x90
반응형

저도 미드, 영드를 즐겨 보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잘 만들었든 못 만들었든 외국이나 한국이나 드라마의 속성은 똑같다는 깨달음(?)을 얻고 난 뒤로는 나라를 가리지 않고 이것저것 봅니다만 한때는 외국 드라마를 보기 위해 꽤 노력을 했더랬죠. 드라마는 그 나라의 문화와 가치관을 반영한 종합적인 오락물이다 보니 그 나라 사람들이 아니고서는 이해하기 힘든 코드가 있습니다. '수상한 가정부'나 미드 '홈랜드'의 원작인 '하투핌', 시대극처럼 영어를 잘 알아도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기 힘들어서 즐기기 힘든 외국 드라마도 있었습니다. 

3시즌으로 살아 돌아온 '셜록' - 더빙 방송 논란의 핵심은 무엇이었나?

KBS의 수신료 논란은 불쾌하지만 KBS가 다른 어떤 방송국 보다 잘 하는 일이 하나 있죠. 바로 BBC의 드라마를 재빨리 수입해 더빙 방송해준다는 점입니다. KBS는 2005년부터 '닥터후(Doctor Who)'를 수입해 방송했고 영국의 방송 시점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특별히 불법 다운로드를 하지 않아도 더빙 방송을 보면 될 정도입니다. 마찬가지로 전세계적인 인기 영국 드라마인 '셜록(Sherlock)' 3시즌을 1월 5일부터 방송 해주고 있습니다. BBC 방송을 이런식으로 직수입해서 더빙 방송하는 나라가 꽤 많다고 하죠.

더빙은 외국어에게 한국 목소리를 입히는 일입니다. 많은 나라에서 공중파 방송은 외국 프로그램을 방송할 때 더빙이나 음성다중 방송, 자막 방송을 필수 의무화 하고 있습니다. 단편적으로는 자막을 읽지 못하는 문해나 시력이나 인지 능력이 느린 외국인, 노년층을 위해 더빙 방송을 하고 넓게는 외국 문화에 익숙치 않은 사람들을 위해 한국 상황에 맞춰 로컬라이징을 합니다. 특히 한국 공중파에서는 절대 용납되지 않는 'F***'같은 단어를 바꿔서 순화하는 것도 더빙방송의 중요한 역할이죠.




 

 

물론 드라마 주연배우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다는 점 또는 원작 특유의 매력을 살리지 못한다며 반대하는 사람도 있습니다만 영어에 익숙한 사람도 외국 문화를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셜록' 3시즌 '빈 영구차'에서 나온 가이포크스 데이를 한국 사람들 대부분은 잘 알지 못하겠죠. 왜 존 왓슨(마틴 프리먼)이 죽을 위기에 처한 것인지 알 수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공중파 방송의 경우 원작의 매력 보다 더욱 중요한 것이 다수의 시청자에게 드라마 내용을 이해시키는 것 입니다. 더빙이 꼭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베이커가 221B에 사는 셜록 홈즈. 그가 만드는 컨텐츠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도 더빙은 필수다.

그런데 최근 '셜록' 3시즌의 더빙 방송을 두고 몇가지 논란이 불거졌다고 합니다. 외국 드라마를 좋아하는 사람은 더빙 방송을 싫어한다며 한국 공중파에서 외화를 방송할 때 더빙을 없애야한다는 과격한 주장도 있었고 시대가 어느 때인데 더빙을 하냐며 반발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걔중에는 주인공 셜록을 맡은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의 목소리가 워낙 특별해서 오리지널 목소리를 듣고 싶었다는, 이해할 수 있는 반응도 있었지만 더빙 자체를 반대하는 건 솔직히 납득하기가 힘들더군요.

왜냐하면 KBS에서 방송된 셜록은 방송전부터 '음성다중' 방송임을 광고하며 자막방송이나 원어로 보고 싶은 경우 얼마든지 선택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기 때문 입니다.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더빙 방송이 싫은 사람은 얼마든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상황에서 더빙 방송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게 이상하다는 것입니다. 그 논란을 지켜보던 성우 권창욱은 '내가 더빙으로 셜록 본다'며 '보기 싫으면 보지 말라'는 과격한 발언을 합니다. 드라마 성우의 존재가치를 부정했으니 어쩌면 당연하겠죠.

권창욱이 분노한 것처럼 더빙 역시 콘텐츠를 즐기는 한 방식입니다. 더빙이 아닌 원어 자막으로 드라마를 보기 편한 사람들 보다는 더빙으로 컨텐츠를 즐기는게 편한 사람들이 아직은 더 많죠. 둘 중의 어떤 방식을 선택하든 그건 본인의 취향일 뿐 절대 어떤 것이 더 낫다고 할 수 없는 부분인데 외국어 더빙 방송이 있을 때 마다 이런 논란이 생기는게 어떻게 보면 신기한 일입니다. 거기다 우리 나라 더빙 수준은 그렇게 낮은 편이 아닙니다. 우리 나라처럼 공중파 방송의 로컬라이징이 곡 필요한 나라에서 성우들의 역할은 중요합니다.

'셜록'은 더빙이든 자막이든 똑같이 좋은 컨텐츠다 - 더빙 방식이 촌스럽다는 반응은 곤란해.

특히 외국 배우의 목소리를 연기하는 외화 성우들은 자체 팬클럽이 생길 정도로 인기가 높습니다. 과거 'X파일'시리즈의 더빙 방송이나 '닥터후'의 더빙 방송은 상당히 잘 제작된 더빙 중 하나입니다. BBC 방송에서도 극찬했지만 '닥터후'의 데이비드 테넨트는 전세계의 더빙 방송중 한국 닥터 역의 김승준씨를 마음에 들어했다고 하더군요. 성우의 목소리 역시 즐길 수 있는 하나의 컨텐츠로 정착한 상황에서 더빙 방송 자체를 부정하는 건 옳치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특히 충격을 받은 건 '더빙 방송이 촌스럽다'는 댓글이었는데 더빙은 공중파의 의무이자 외국의 컨텐츠를 즐기는 정상적인 방식 중 하나입니다. 공중파를 보는 절대 다수의 사람들이 자막과 원어에 익숙해져야할 필요도 없고 그럴 이유도 없습니다. 영어 사대주의도 아니고 더빙이 촌스럽다는 말을 어쩌면 그렇게 당당하게 할 수 있는지 공중파 방송의 역량이 강조되는 이 시대에 그런 촌스런 발언을 할 수 있는 것일까요.

'셜록'의 제작자, 작가 중 한명인 스티브 모펫은 '닥터후' 시리즈로도 유명한 작가입니다. '셜록'은 그의 기발한 매력이 아주 잘 드러난 수작이죠. 이번에 다소 셜록이 인간적이 됐다 싶었는데 3시즌 첫회의 각본을 맡은 사람이 마이크로프트 홈즈 역을 맡은 마크 게이티스더군요. 더빙으로 즐기든 자막으로 즐기든 '셜록'은 충분히 훌륭한 컨텐츠 입니다. 공중파의 의무가 더빙이고 음성다중을 선택할 수 있는 만큼 공중파 더빙의 존재 이유 자체를 부정하진 않았으면 합니다. 방식의 차이가 있다고 없어져야 한다는 건 말도 안되는 일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