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극중 의자는 무왕(최종환)의 정치적 승리를 도모한 공으로 태자로 책봉되고 아내 연태연(한지우)는 태자비가 될 수 있었습니다. 아들 부여태는 정식으로 부여의자의 아이로 인정받습니다. 민심을 살펴보겠다며 자신과 뜻을 함께 한 동지들 즉 계백, 성충(전노민), 흥수(김유석) 등과 마을로 나간 의자는 백성들의 진심을 듣게 됩니다. 신라의 왕을 이모로 둔 반쪽 자리 왕자를 어떻게 믿겠냐는 말, 또 새로이 세력을 차지한 자들은 높은 자리 차지하려고 진흙탕 싸움이나 할 것이 분명하다는 말.
태자 자리를 차지한 의자와 첫번째 왕자 부여태
태자비가 된 태연의 아들 이름을부여태로 바꿨더군요. 일전에 읽은 기록으론 부여태는 의자왕의 제 2왕자라고 했습니다. 말하자면 태연은 의자가 황위에 올라도 황후가 될 수 없거나 은고(송지효) 등에게 지위가 밀린다는 뜻인듯 합니다. 초기 캐릭터 설정에서는 부여융의 어머니가 연태연이었는데 다르게 설정한 듯 합니다. 의자왕의 장자 부여효도 아직 보이지 않는 상태이니 어떻게 마무리할 지 모르지만 은고의 자식들이 제 1왕자가 될 것같단 생각도 드네요. 목씨 집안의 은고가 의자왕의 아내가 되는 건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은고의 발목을 잡을 목씨들과 상단
백제의 왕족이 부여씨라는 건 유명한 이야기고(무왕의 이름은 부여장, 의자왕의 이름은 부여의자) 극중 사택적덕(김병기)를 비롯한 사택씨들이 엄청난 위세를 누렸음도 잘 알려진 이야기입니다. 사형당한 연문진(임현식)의 연씨 집안도 대성팔족의 하나로 연태연은 아버지와 오빠를 잃었지만 또다른 남자형제가 권력층으로 급부상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성씨는 잘 등장하지 않지만 은고의 아버지로 설정된 목한벽의 목씨 역시 유명한 귀족가문 입니다. 근초고왕 때 활약했다는 장군 목라군자(木羅斤資)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은고는 '은고 부인'으로만 알려져 있지 성씨는 아무도 모릅니다. 극중 은고에게는 존재 조차 몰랐던 숙부가 생기고 그 숙부에게 사택씨와 어울리던 내신좌평 기미(김중기)가 나타나 뇌물을 전합니다. 도시부 장사라는 직책을 받은 은고에게 목씨 집안은 자신의 업무를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됨과 동시에 승승장구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임이 분명합니다. 무왕의 호감과 의자의 지지를 등에 업은 그녀의 세력이 커갈수록 부정부패도 함께 자라난다는 뜻이 됩니다.
혈연이 살아있음을 기뻐하며 목씨들을 불러들이는 은고
계백은 타고나기를 성정이 꼿꼿해 새로운 백제를 새우기로 약속한 흥수, 성충 이외에 사리사욕을 탐하지 않을 성격이지만 권력의 핵심부에서 움직이는 의자왕과 은고는 처지가 다릅니다. 의자는 연태연과 혼인했듯 원치 않은 정략혼도 해야하고 공평한 정치를 위해 마음에 들지 않는 가문에서 인재를 등용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은고는 어릴 때부터 은혜를 입은 행회의 영모(최란)를 비롯한 사람들을 거둬야 하는 입장입니다. 아직 자세히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영묘는 신녀(이태경)의 뜻으로 은고 모녀를 데려온 듯합니다.
은고는 결국 계백을 따라가지 않는다
사택황후가 위제단의 귀운(안길강)을 부려 자신의 사적인 욕심을 채웠듯 은고에게는 극 초반부에 설정된 영묘와 관련있는 '여명단'이 살수이자 비밀 조직으로 활약할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의자왕의 호위로 활약하던 초영(효민)은 교관으로 이미 활약해 의자의 반기를 배후에서 지원하는 군사들에게 직접 무술을 가르치기도 했습니다. 은고는 자신이 거부하고 싶어도 이미 일가를 이룬 주변 사람들의 뜻을 거절할 수가 없는 상황으로 영묘의 은혜를 저버릴 수도 없고 그들을 자신의 사조직으로 거둬야할 수도 있습니다.
은고가 영묘의 은혜를 어떤식으로 갚을 것인가.
* 이 글은 드라마 '계백' 홈페이지에 동시게재됩니다.
반응형
'한국 드라마 이야기 > 계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백, 이순신 조차 피해갈 수 없었던 괘씸죄의 덫 (3) | 2011.10.04 |
---|---|
계백, 딸의 죽음 때문에 백제를 멸망시키는 김춘추 (2) | 2011.09.28 |
계백, 행회의 영묘는 왜 은고를 위해 자결했을까 (1) | 2011.09.27 |
계백, 역모죄에도 교기와 사택황후가 살아난 이유? (3) | 2011.09.21 |
계백, 자중지란으로 사택황후를 잡는 은고와 계백 (4) | 2011.09.20 |
계백, 피를 밟고 올라서는 의자왕 왜 왕이 되려 하나 (6) | 2011.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