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법흥왕 8

선덕여왕의 권력은 불교 사찰로 완성된다

판타지 퓨전사극답게 선덕여왕과 미실의 그릇(?) 대결이 한참인 MBC 선덕여왕. 대원신통이었던 미실, 그리고 신라왕실은 각종 제를 지내는 경우가 많아 선덕여왕 역시 즉위 2년에 신궁에서 제사를 올린다. 그 시기의 나라는 왕족을 신과 동일시할 정도로 우러러 보아야 왕권이 강화되고 권력 기반을 다질 수 있다. 미실과 그 전대의 왕족(대원신통)은 신라에서 모시던 고유의 신이 있었고 기우제를 올리는 등 국가의 제례를 담당하여 권력의 한 축이 되었다. 선덕여왕의 업적 중 즉위 원년에 적힌 구휼에 관한 부분, 또 침략 전쟁에 대응한 부분 등으로 여왕의 능력은 짐작할 수 있으나 사서의 기록이 선명치는 않다.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보아 여왕은 김유신, 김춘추, 알천 등을 등용했으며 신생 세력, 가야계에 후했던 것으로 보..

드라마와 문화 2009.10.17

신라왕의 발목을 잡은 진골 귀족들

현대인이 사극을 볼 때 짚고 넘어갈 부분이 있다. 바로 주인공이 내뱉는 '백성을 위한다'라는 표현이다. 왕이나 귀족 중에 진정 백성을 위해 큰 뜻을 세웠던 영웅이 없었다는 말이 아니라 그 말의 실천 방법이나 배경이 우리가 알고 있는 관점과는 다르단 것이다. 그들이 나라를 위해 목숨 바쳐 충성한다는 가치관 조차 그 큰 뿌리는 다르다. 영웅은 권력을 꾀하다 보니 '우연히' 백성을 염려했는가 아니면 백성의 행복을 위해 최선을 다 했는가? 드라마 속 수품, 수울부 등을 비롯한 신라 귀족(화랑을 비롯한 진골이 많았으니 대개 왕족)들이 비싼 값에 곡식을 매점매석해 평민들은 수만금을 줘도 먹을 것을 구할 수 없는 상황때문에 굶주린다. 장사치들은 귀족들의 속셈도 알 바 아니고 백성들의 딱함도 헤아릴 바 아니니 단지 돈..

풍월주 김유신과 신라의 화랑 조직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설명하는 김유신은 참 정치적 인물이다. 가야계를 등에 업고 갈 수 밖에 없는 숙명을 지닌 자, 자신의 성공에 많은 이들의 운명을 책임져야 하는 자, 그리고 미실계와 덕만공주로 양분된 신라 귀족 사회에 균형을 줄 수 있는 캐릭터가 김유신이다. 선덕여왕과의 사랑은 순수 창작이고 가야계에 대한 정치적 해석은 조금씩 달리하지만 화랑세기와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기록된 김유신 드라마 속 그와 많이 다르지 않다. 신라왕조는 지속적으로 가야왕실과 혼인을 맺었지만 멸망 때까지 가야의 반란과 공격이 종종 있었다 기록한다. 비교적 일찍 신라에 합류된 김유신 가문이지만 이 가야의 혈연은 끊을 수 없었다. 말도 타지 못하는 미실의 동생, 미생이 풍월주가 되는 동안 진골인 장군 김무력과 김서현은 피비린내나는 ..

선덕여왕과 '암탉'의 탁월한 정권 장악

MBC 드라마 '선덕여왕'의 여주인공, 점을 치고 하늘의 계시를 받아 혹세무민하는 미실은 병권까지 장악한 정치인이다. 부드러움과 잔인함을 동시에 갖춘 미실, 그 미실의 아들로 설정된 비담은 살벌함과 순수함을 동시에 갖춘 인물이다. 비담은 미실이 의지하고 따르던 진흥왕을 배신하려 했듯 아버지와 마찬가지인 문노를 배신하게 될 지 모른다. 두 모자(?)의 세번째 공통점은 혼란스러운 신라를 손에 쥐고 흔든 외척이란 점이다. 삼국사기에 적힌 신라사 중 '암탉'이란 표현은 많은 것을 암시한다. 첫번째 여왕, 선덕여왕이 신라를 말아먹었다는 뉘앙스의 단어 '암탉'. 똑똑함을 강조한 여왕임에도 진덕여왕에 비해 김부식의 평이 박하다. 전해오는 속담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는 표현의 유래는 한나라 사서라 한다. 외척이..

미실의 죽음과 내분으로 약해진 신라 왕조

왕까지 갈아치운 무소불위의 권력자, 미실에게 뱉는 마야 부인의 저주는 섬뜩하다. "네 이년. 네 년도 죽을 것이다. 네 년이 가진 모든 것을 잃고 빼앗기고 짓밟히고 혼자서 외로움에 떨다 죽을 것이다. 잠을 자도 잘 수 없고, 먹어도 먹을 수 없고 살아도 살 수 없고, 송장처럼 썩어가다가 비명을 질러도 소리가 나지 않은 채로 죽을 것이다. 비석도 없이, 무덤도 없이, 흔적도 없이 죽으리라. 하여 역사에 네 년의 이름은 단 한글자도 남지 않으리라." 윤유선씨의 열연으로 표현된 이 대사처럼 미실이란 이름은 현존하는 정식 사서엔 단 한줄도 나오지 않는다. 화랑세기 조차 필사본으로 진위 여부에 시달리고 있으니 미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다. 김부식이란 인물은 유교적 사관의 소유자로 사서에 '암탉이 울면....

대원신통의 두 악녀, 미실과 사도왕후

미실이 저지른 여러 사건들에도 불구하고 화랑세기를 읽다 보면 미실이 그리 치밀하거나 냉정한 인물이란 생각은 들지 않는다. 색을 즐기고 만사에 호탕한 유쾌한 인물에 가깝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악녀라는 표현을 쓰긴 했으나 신라왕조에서 승리한 건 누가 뭐래도 진골정통이다. 그러니 김알지, 석탈해, 박혁거세가 삼분하던 신라 세력의 군형을 맞추기 위해 경쟁하던 여인들에게 '악녀'란 타이틀은 불공정하다. 미실의 색사는 공정한 수단이었기 때문이다. 두 인통은 힘이 약해진 것 같으면 서로 견제하고 인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한다. 성씨(性氏)라는 문화가 생기기전까진 모계를 중심으로 두 인통을 구분했다. 대원신통이 미실을 내세워 세력을 확장했을 땐 진골정통 역시 그만한 맞대응이 있었다고 보는게 맞다. 드라마에서 묘사하듯..

김유신이 아내를 고르는 남다른 기준?

천명공주와 선덕여왕의 연인으로 김유신이 선정된 것을 보고 참 재미있는 설정이라 생각했다. 진흥왕이나 진평왕이 강조한 '성골'의 뿌리, 즉 직계 존속의 개념을 강요하던 신라 왕조는 골품제를 깨트리는 것을 금기시했다. 성골이나 진골 왕족이 같은 골품 안의 여러 연인을 두는 것 - 비록 남매거나 근친, 혹은 동성일지라도 - 은 허락했으나 골품을 어겨 결혼하거나 연인이 되는 건 '사통'이라 표현했다. 드라마에서 표현하는대로 아버지의 신분이 낮은 설원랑(금진궁주의 아들, 아버지는 설성 - 사다함과 아버지가 다른 형제)은 미실과 사통을 하고 색공지신을 할 지라도 그의 정식 파트너는 되지 못하고 세종의 아들 하종에게 면전에서 천시를 당하기도 한다(실제 하종이 그런 성격이었는지는 알 길 없으나 설원랑을 높이 샀을 것 ..

드라마와 문화 2009.06.21

판타지 사극 '선덕여왕'의 미실이 악녀가 되어야하는 까닭?

신라 최초의 여왕이자 한반도 최초의 여왕인 선덕여왕. 정치감각이 뛰어난 그녀가 왕의 자리에 올랐을 땐 중년이 훨씬 지난 나이였다 한다. 그녀가 드라마에 등장했다. 무수한 퓨전 사극 주인공들처럼 아직 어린시절을 중국에서 구르고(?) 있는 그녀를 관심있게 지켜보는 건 화랑세기 때문이다. 화랑세기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된 건 10년이 넘었다. 위서 여부가 논란거리가 되고 있으며 학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단 이야기도 그때 읽었다. 그 속에 그려진 신라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알던 모습과 몹시 달랐다. 그때는 충격적인 역사서라 오래 관심을 가지기도 했었다. 역사 교과서 속의 내용을 모두 뒤집을 만한 이야기가 실린 '화랑세기'. 필사본이기에 박창화씨의 덧붙임이 있으리라는 추측(신라 비석은 왕의 이름을 마립간, ..

드라마와 문화 2009.06.0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