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드라마 '계백'의 첫회는 신라의 김유신(박성웅)과 백제의 계백(이서진)이 나라의 운명을 두고 결전을 나누는 장면이었습니다. 우리는 그 싸움이 계백의 죽음으로 끝난다는 사실을 아주 잘 알고 있지만 김유신에 맞서는 계백은 기싸움에서 한치도 밀리지 않을 만큼 비장하게 신라군을 맞섭니다. 노예 시절 계백은 의자(조재현)와의 연합작전으로 가잠성 성주 알천을 물러가게 했으며 어제 방영분에서도 계백은 가열성 군장으로서 성을 노리고 있는 신라장군, 김유신의 동생인 김흠순을 심리전으로 유린해 기습공격합니다.
마땅히 그의 라이벌은 신라의 김유신이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아직까지 김유신은 계백 보다 한수 아래의 인물로 보여집니다. 그가 계백의 진정한 맞수가 되자면 아직 시간이 좀 남은 것같습니다. 계백이 정신적 빚을 지고 있는 의붓형 문근(김현성)은 무진(차인표)과 계백의 관계도 모른채 계백의 탈출을 도와주고 신라군 공격을 보조해 줍니다. 자신의 정치적 이상 때문에 어머니 을녀(김혜선)를 등한시했던 남보다 못한 의붓 아버지. 약간은 삐뚤어졌지만 어쩌면 자연스러운 문근의 원한이 계백의 인생을 어떻게 바꿔버릴 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김유신은 김춘추에게 사적으로 처남이자 사위입니다. 가야 출신의 왕족으로 선덕여왕과 사촌 사이였던 김유신은 선덕여왕의 조카였던 김춘추를 왕으로 모십니다. 두 사람은 함께 힘을 합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케 했고 삼한일통의 기반을 이룬 사람들로 유명합니다. 계백의 주군이 의자왕이었다면 김유신의 주군은 김춘추라 할 수 있습니다. 드라마 속에서 계백의 라이벌이 김유신인 것처럼 김춘추(이동규) 역시 태자 의자(조재현)에 맞서 넘치는 기량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의자에게 은고(송지효)와 성충(전노민), 흥수(김유석), 임자(이한위)의 도움이 없다면 도저히 상대할 수 없는 인물이 김춘추입니다. 송아지를 보내 의자의 성정을 시험해 본다거나 당나라가 선덕여왕에게 보냈다는 모란꽃 그림을 보여주며 깊은 뜻을 헤아려보게 하는 일 등은 김춘추의 성격이 남다르게 치밀하고 영악함을 알 수 있게 합니다. 드라마 '선덕여왕'과는 다르게 의자와 선덕여왕의 관계를 조카와 이모 사이로 설정해 더욱 둘의 경쟁이 치열해 보입니다. 사서대로라면 이 '사촌형제'는 김춘추의 딸 고타소 때문에 철천지 원수가 됩니다.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문노(정호빈)의 삼한지세 즉 삼한일통을 위한 책을 김춘추(유승호)가 가지고 놀다 찢어 버리는 걸 보고 비담(김남길)은 화를 못 이겨 춘추를 마구 두들겨 팹니다. 문노가 평생 걸려 완성한 책을 놀이감으로 쓰는 춘추에게 분노한 것입니다. 춘추는 더군다나 문노의 죽음을 사주한 바로 그 인물이었습니다. 철없이 느껴지던 어린아이 춘추는 그 책을 모두 외우는 천재적 능력의 소유자였고 미실(고현정)의 손녀 보량(박은빈)과 혼인합니다. 드라마 속 그의 캐릭터는 성골의 씨가 마른 신라의 후계자가 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할 만큼 영리한 자였습니다.
삼국사기에 적히길 김춘추가 백제를 멸망시키기로 결정한 건 딸과 사위의 죽음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안 그래도 의자왕은 자주 신라를 공격했고 신라와 백제 두 나라는 치고 받는 전쟁을 계속 했었는데 선덕여왕 11년, 642년에 8월에 의자왕은 윤충을 시켜 대야성을 함락시켰고 그 과정에서 도독 품석과 그 아내 고타소가 죽었습니다. 고타소는 김춘추가 아끼고 사랑한 딸로 김춘추는 그 소식을 듣고 온종일 기둥에 기대어 서서 눈도 깜빡이지 않은 채 사람이나 물체가 앞을 지나가도 알아보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 순간 백제를 멸하리라 마음 먹은 것입니다.
유달리 인물이 좋았다는 김춘추에게는 삼국사기, 화랑세기, 삼국유사를 통틀어 세 명의 아내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 중 김유신의 둘째 여동생인 문희는 문무왕 법민의 어머니이고 고타소는 화랑세기에 의하면 김춘추가 몹시도 사랑했던 보량(보라)궁주의 딸이라고 합니다. 화랑세기 기록으론 갖은 곡절 끝에(김유신이 임신한 문희를 태워죽인다 했던 걸 선덕여왕의 명으로 살려준 일) 김춘추의 아내가 된 문희는 처음엔 정궁이 아니었지만 아이를 낳다 보량이 죽어 정궁이 되었습니다. 나중엔 김춘추가 문희의 언니 보희까지 거둬두었다고 합니다.
화랑세기대로라면 몹시 사랑하고 아꼈지만 일찍 죽었던 첫 아내 때문에 고타소를 더욱 아끼고 사랑했다는 뜻인데 그 상심이 얼마나 대단했기에 백제라는 한 나라를 멸망시키고 싶었던 것일까요. 삼국사기에서 김춘추는 백제를 멸하기 위해 고구려를 다녀오고 김유신에게 혹시라도 잘못되면 도와달라는 청까지 합니다. 고구려와의 협상이 잘 되지 않자 빠져나와 다시 당나라에 도움을 요청하고 결국에는 백제를 멸망시키는데 성공하고 말지요. 그 과정에서 백제 감옥에 묻혀 있던 딸과 사위의 시신까지 되찾는다는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삼국사기의 기록이 다소 과장되어 김유신과 김춘추 중심으로 쓰여있긴 합니다만 그 기록을 염두에 두고 보면 '이종사촌'으로 설정된 김춘추와 태자 의자의 만남이 얼마나 운명적인 만남인지 알 수 있습니다. 백제와 신라가 자주 교류를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최소한 인접 국가로 서로에게 사신을 보냈을 가능성이 높고 그 과정에서 외교에 능통한 김춘추가 백제를 오가지 않았으리란 법은 없습니다. 진짜 의자왕의 어머니가 신라공주 선화였다면 둘은 사촌이라 부르며 우호를 다지다가 하루 아침에 적이 되버린 것입니다.
백제사의 많은 부분이 유실되어 백제가 왜 신라를 자주 공격했어야 했는지는 적혀 있지 않습니다. 혹자는 무왕이 진평왕의 맏사위라 왕위 계승을 요구했다고도 하는데 글쎄 그 부분은 장담할 수 없는 일이겠죠. 현대사의 재해석으로 의자왕은 우리가 아는 것 보다는 자신의 책임을 다한 유능한 왕이었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그 의자왕의 백제를 무너트린 것이 김춘추라는 한 남자의 원한이라는게 어쩐지 믿어지지 않기도 하지요.
후에 문무왕이 당나라가 마련한 화친 자리에서 부여융을 모욕했다는 기록대로라면 고타소 역시 문희의 딸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만 어쨌든 간에 태자 의자와 신라 김춘추의 만남은 백제의 운명을 좌지우지할 엄청난 만남임에는 틀림없는 듯합니다. 실제로 역사 속에서 두 사람은 어떤식으로 만났을까 싶기도 하구요. 의자왕의 등극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상대적으로 약소국이었던 신라, 그 신라의 김춘추는 앞으로 어떻게 백제에 대한 원한을 풀어가게 될지 그 부분이 백제 멸망을 좌우하게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드라마 '계백' 홈페이지에 동시게재됩니다.
마땅히 그의 라이벌은 신라의 김유신이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아직까지 김유신은 계백 보다 한수 아래의 인물로 보여집니다. 그가 계백의 진정한 맞수가 되자면 아직 시간이 좀 남은 것같습니다. 계백이 정신적 빚을 지고 있는 의붓형 문근(김현성)은 무진(차인표)과 계백의 관계도 모른채 계백의 탈출을 도와주고 신라군 공격을 보조해 줍니다. 자신의 정치적 이상 때문에 어머니 을녀(김혜선)를 등한시했던 남보다 못한 의붓 아버지. 약간은 삐뚤어졌지만 어쩌면 자연스러운 문근의 원한이 계백의 인생을 어떻게 바꿔버릴 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서로를 알아보지 못하는 의붓형제 문근, 계백과 맞수가 되는 사촌형제 의자, 춘추
김유신은 김춘추에게 사적으로 처남이자 사위입니다. 가야 출신의 왕족으로 선덕여왕과 사촌 사이였던 김유신은 선덕여왕의 조카였던 김춘추를 왕으로 모십니다. 두 사람은 함께 힘을 합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케 했고 삼한일통의 기반을 이룬 사람들로 유명합니다. 계백의 주군이 의자왕이었다면 김유신의 주군은 김춘추라 할 수 있습니다. 드라마 속에서 계백의 라이벌이 김유신인 것처럼 김춘추(이동규) 역시 태자 의자(조재현)에 맞서 넘치는 기량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의자에게 은고(송지효)와 성충(전노민), 흥수(김유석), 임자(이한위)의 도움이 없다면 도저히 상대할 수 없는 인물이 김춘추입니다. 송아지를 보내 의자의 성정을 시험해 본다거나 당나라가 선덕여왕에게 보냈다는 모란꽃 그림을 보여주며 깊은 뜻을 헤아려보게 하는 일 등은 김춘추의 성격이 남다르게 치밀하고 영악함을 알 수 있게 합니다. 드라마 '선덕여왕'과는 다르게 의자와 선덕여왕의 관계를 조카와 이모 사이로 설정해 더욱 둘의 경쟁이 치열해 보입니다. 사서대로라면 이 '사촌형제'는 김춘추의 딸 고타소 때문에 철천지 원수가 됩니다.
삼한일통의 계기는 김춘추의 원한?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문노(정호빈)의 삼한지세 즉 삼한일통을 위한 책을 김춘추(유승호)가 가지고 놀다 찢어 버리는 걸 보고 비담(김남길)은 화를 못 이겨 춘추를 마구 두들겨 팹니다. 문노가 평생 걸려 완성한 책을 놀이감으로 쓰는 춘추에게 분노한 것입니다. 춘추는 더군다나 문노의 죽음을 사주한 바로 그 인물이었습니다. 철없이 느껴지던 어린아이 춘추는 그 책을 모두 외우는 천재적 능력의 소유자였고 미실(고현정)의 손녀 보량(박은빈)과 혼인합니다. 드라마 속 그의 캐릭터는 성골의 씨가 마른 신라의 후계자가 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할 만큼 영리한 자였습니다.
삼국사기에 적히길 김춘추가 백제를 멸망시키기로 결정한 건 딸과 사위의 죽음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안 그래도 의자왕은 자주 신라를 공격했고 신라와 백제 두 나라는 치고 받는 전쟁을 계속 했었는데 선덕여왕 11년, 642년에 8월에 의자왕은 윤충을 시켜 대야성을 함락시켰고 그 과정에서 도독 품석과 그 아내 고타소가 죽었습니다. 고타소는 김춘추가 아끼고 사랑한 딸로 김춘추는 그 소식을 듣고 온종일 기둥에 기대어 서서 눈도 깜빡이지 않은 채 사람이나 물체가 앞을 지나가도 알아보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 순간 백제를 멸하리라 마음 먹은 것입니다.
MBC '선덕여왕'의 김춘추, 말타기를 싫어했지만 지략에 뛰어났다
유달리 인물이 좋았다는 김춘추에게는 삼국사기, 화랑세기, 삼국유사를 통틀어 세 명의 아내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 중 김유신의 둘째 여동생인 문희는 문무왕 법민의 어머니이고 고타소는 화랑세기에 의하면 김춘추가 몹시도 사랑했던 보량(보라)궁주의 딸이라고 합니다. 화랑세기 기록으론 갖은 곡절 끝에(김유신이 임신한 문희를 태워죽인다 했던 걸 선덕여왕의 명으로 살려준 일) 김춘추의 아내가 된 문희는 처음엔 정궁이 아니었지만 아이를 낳다 보량이 죽어 정궁이 되었습니다. 나중엔 김춘추가 문희의 언니 보희까지 거둬두었다고 합니다.
화랑세기대로라면 몹시 사랑하고 아꼈지만 일찍 죽었던 첫 아내 때문에 고타소를 더욱 아끼고 사랑했다는 뜻인데 그 상심이 얼마나 대단했기에 백제라는 한 나라를 멸망시키고 싶었던 것일까요. 삼국사기에서 김춘추는 백제를 멸하기 위해 고구려를 다녀오고 김유신에게 혹시라도 잘못되면 도와달라는 청까지 합니다. 고구려와의 협상이 잘 되지 않자 빠져나와 다시 당나라에 도움을 요청하고 결국에는 백제를 멸망시키는데 성공하고 말지요. 그 과정에서 백제 감옥에 묻혀 있던 딸과 사위의 시신까지 되찾는다는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역사적 사실은 아닐지라도 백제의 운명을 가르게 될 만남
삼국사기의 기록이 다소 과장되어 김유신과 김춘추 중심으로 쓰여있긴 합니다만 그 기록을 염두에 두고 보면 '이종사촌'으로 설정된 김춘추와 태자 의자의 만남이 얼마나 운명적인 만남인지 알 수 있습니다. 백제와 신라가 자주 교류를 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최소한 인접 국가로 서로에게 사신을 보냈을 가능성이 높고 그 과정에서 외교에 능통한 김춘추가 백제를 오가지 않았으리란 법은 없습니다. 진짜 의자왕의 어머니가 신라공주 선화였다면 둘은 사촌이라 부르며 우호를 다지다가 하루 아침에 적이 되버린 것입니다.
백제사의 많은 부분이 유실되어 백제가 왜 신라를 자주 공격했어야 했는지는 적혀 있지 않습니다. 혹자는 무왕이 진평왕의 맏사위라 왕위 계승을 요구했다고도 하는데 글쎄 그 부분은 장담할 수 없는 일이겠죠. 현대사의 재해석으로 의자왕은 우리가 아는 것 보다는 자신의 책임을 다한 유능한 왕이었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그 의자왕의 백제를 무너트린 것이 김춘추라는 한 남자의 원한이라는게 어쩐지 믿어지지 않기도 하지요.
후에 문무왕이 당나라가 마련한 화친 자리에서 부여융을 모욕했다는 기록대로라면 고타소 역시 문희의 딸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만 어쨌든 간에 태자 의자와 신라 김춘추의 만남은 백제의 운명을 좌지우지할 엄청난 만남임에는 틀림없는 듯합니다. 실제로 역사 속에서 두 사람은 어떤식으로 만났을까 싶기도 하구요. 의자왕의 등극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상대적으로 약소국이었던 신라, 그 신라의 김춘추는 앞으로 어떻게 백제에 대한 원한을 풀어가게 될지 그 부분이 백제 멸망을 좌우하게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드라마 '계백' 홈페이지에 동시게재됩니다.
728x90
반응형
'한국 드라마 이야기 > 계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백, 의자의 비열한 계책으로 은고는 망국의 요부가 되나? (3) | 2011.10.11 |
---|---|
계백, 이순신 조차 피해갈 수 없었던 괘씸죄의 덫 (3) | 2011.10.04 |
계백, 행회의 영묘는 왜 은고를 위해 자결했을까 (1) | 2011.09.27 |
계백, 역모죄에도 교기와 사택황후가 살아난 이유? (3) | 2011.09.21 |
계백, 자중지란으로 사택황후를 잡는 은고와 계백 (4) | 2011.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