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드라마 이야기/정도전

정도전, 귀족 세력의 마지막 저항 조민수와 조준의 전제개혁

Shain 2014. 4. 13. 08:18
728x90
반응형

조선을 세운 역사영웅 이성계가 아닌 인간 이성계는 꽤 비극적인 가족사의 주인공입니다. 한 나라를 멸망시키고 동지들을 배신하며 새로운 나라를 세운 대가라고 해야할지 그와 뜻을 같이한 인물들은 대부분 이성계 보다 먼저 죽었고 자식들은 권력 다툼에 휘말려 목숨을 잃었습니다. 드라마 '정도전'에서 이성계의 조선개국이 천명이었음을 강조하는 듯한 묘사가 탐탁치 않다고 생각합니다만 인간 이성계라는 관점에서는 옳지 않은 것을 보았을 때 바로잡을 수 있는 힘을 가진 사람은 어쩔 수 없이 역사에 휘말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오고 맙니다. 이성계(유동근)의 의형제로 묘사되는 이지란(선동혁)도 이성계가 죽을 때는 이미 승려가 되어 곁에 없었다고 합니다. 나라를 건국했지만 인간적으로는 외로운 사람이 이성계였던 것 같습니다.

 

조민수의 뒷통수에 상심한 이성계. 인간 이성계는 이지란과 노닥거리며 동북면을 그리워한다.

 

그래서 그런지 위화도 회군 이후 최영(서인석)을 유배보내고 우왕(박진우)의 아들 대신 공양왕 왕요를 세우려다 조민수(김주영)와 이색(박지일) 때문에 실패한 이성계가 이지란과 팔씨름하며 노는 모습은 쓸쓸해 보입니다. 역사서에 의하면 여인 만큼이나 단정하고 아름다웠다는 꽃미남 이지란과 어울리는 이성계는 투박하고 담백한 성격이 느껴집니다.  정도전(조재현)이란 놈은 역성혁명을 일으키라 하고 조민수는 권력을 갖겠다는데 정작 사람을 많이 죽여본 거골장은 쉽게 목숨을 결정짓는 정치싸움에 신물이 납니다. 백성을 살린다는 마음에 최영까지 유배보냈건만 얼마나 더 죽여야 만족하려는지 답답하기만 하겠죠.

위화도 회군 이후 고려의 정치판은 한번 더 요동칩니다. 신진사대부 세력은 조민수와 합심하여 창왕의 옹립을 주장하는 이색과 이성계 편에서 왕요의 옹립을 주장하는 정도전 세력으로 갈라 져 있었고 군부 역시 변안렬(송금식)은 조민수의 편을 배극렴(송용태), 남은(임대호), 이 지란은 이성계의 편으로 나뉘어 갈등하고 있습니다. 한때는 황산대첩에서 생사를 넘나드는 전투를 벌이며 전우애를 쌓았고 살고싶다는 마음에 이성계에게 회군을 종용하며 단합했던 장수들이 정권을 놓고 대립하게 된 것입니다(이 때문에 변안렬과 조민수는 고려사 간신열전에 오르게 됩니다).



 

사실 창왕을 왕위에 올리고 정권을 장악한 조민수의 배신은 고려 권문세족들의 마지막 저항이라 볼 수 있습니다. 극중 조준(전현)이 지도에 표시해 보여준 고려의 상황처럼 대부분의 고려 땅은 권문세족들이 차지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들의 땅을 모두 빼앗아 재분배하는 획기적인 일이 일어나지 않는 한 정도전이 언급한 계민수전(計民受田) 즉 백성들의 수를 헤아려 토지를 나눠주겠다는 제도 개혁은 꿈도 꿀 수 없는 일입니다. 또 그런 개혁적인 목적 이면에는 상대적으로 빈곤한 신진사대부 세력이 땅을 중심으로 세력을 키운 권문세족들을 이길 방법은 전무했습니다.

꽃미남(?) 이지란처럼 조민수도 한때는 이성계와 목숨을 건 동료였지만. 어쩔 수없는 권문세족 출신.

 

동북면 출신의 신생세력인 이성계와 신진사대부에 반발하여 창녕 조씨 출신의 집안 좋은 조민수를 비롯한 권문세족들이 그들의 세력을 모으려 하는 건 당연한 흐름 이었겠죠. '정도전'에서 묘사된 것처럼 이미 그 시기는 이인임(박영규), 최영 등이 제거된 시기였으니 귀족세력의 핵심이 마땅히 없었습니다. 대비 안씨(김민주)와 우왕의 비인 근비(서이안) 등도 드라마에서 묘사된 것처럼 상대적으로 광평군과 가까운 조민수의 손을 들어주었을 것입니다. 권력을 잡은 조민수는 그 여세를 몰아 이인임을 복직시킬 것을 주장하게 됩니다.

백성들에게 땅을 나누어 주고 자작농의 비율을 높인다는 '계민수전'은현대인의 관점으로 보아도 획기적인 토지개혁안입니다. 성실히 일을 해도 궁핍하다 못해 배를 곯는 백성들은 소작농이 되고 노비가 되고 나중에는 야반도주하여 산적이 되었다가 목숨을 잃는 비극적인 팔자를 대물림하게 됩니다. 정도전과 조준같은 인물이 어떤 성격의 개혁가들이었는지 백프로 파악할 수는 없지만 백성들을 위해 이 정도의 아이디어를 고민했다는 것만으로 그 진정성은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태생적인 귀족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면 절대 제시하기 쉽지 않은 개혁안입니다.

 

꽃미남(?) 이지란처럼 조민수도 한때는 이성계와 목숨을 건 동료였지만. 어쩔 수없는 권문세족

 

이후 조준은 대사헌 자리에 올라 실권을 장악한 조민수에게 전제개혁을 비롯한 개혁을 제안했다가 조민수의 반대에 부딪힙니다. 권문세족들이 자신들의 세력 기반인 땅을 포기할 리가 없습니다.조민수를 탄핵하고 창왕을 물러나게 하는데 결정적인 스나이퍼 역할을 하는  인물도 바로 조준 입니다. 이후에도 개혁적인 성향으로 조선왕조에 큰 기여를 한 인물이죠. 정도전을 비롯한 많은 역성혁명파들이 대부분 지방출신인 것에 비해 조준의 집안은 대표적인 친원파 중 하나였던 평양조씨 가문입니다. 조민수는 이인임처럼 유배지를 떠도는 신세가 됩니다.

이렇게 권문세족과 개국 세력이 이렇게 부딪히며 싸우는 동안 애가 타는 것은 정몽주(임호)입니다.정도전에게 털어놓은대로 정몽주가 꿈꾸는 정치는 상생, 화합의 정치로 표현 됩니다. 귀족 출신이면서 이성계 등과 가깝게 지낸 그의 성향을 보아 적절한 해석인 듯합니다. 공양왕을 옹립할 때까지는 그는 이성계의 절친한 동료였습니다. 인간 이성계는 우리가 잘 아는 것처럼 자신의 사돈인 이인임, 번안렬 등을 숙청했고 정몽주 마저 그 과정에서 잃게 되겠죠. 인간 이성계의 비극이야 어찌되든 말든 간에 역사는 무정하게 흐릅니다. 조민수와 조준의 대립이 끝나면 또 어떤 정쟁이 이성계의 숙명이 될까요. 그 부분에 초점을 맞춰 보는 것도 꽤 흥미롭군요.

정몽주는 상생을 말하지만 조준이 보여준 고려 현실은 상생불가를 표현한다. 제거될 수 밖에 없는 정몽주의 운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