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속 문화 읽기

방송3사 연기대상 이변은 없어도 감동은 있었다

Shain 2015. 1. 2. 09:09
728x90
반응형

종종 연기대상에서 수상하면 배우들에게 어떤 점이 좋냐고 검색하는 시청자들이 있다. 자신의 연기로 큰상을 수상한다는 부분에서도 큰 영광이겠지만 현실적으로 와닿는 수상의 좋은 점은 배우 등급이 올라간다는 점일 것이다. 조연급일 때는 출연할 작품만 있어도 감사하지만 수상 이후에는 작품 고르기가 좀더 쉬워지고 배역의 급이 달라진다. 그러다 보니 공중파 방송3사 연기대상 시상식이 배우들의 공헌도에 치중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한 배우가 드라마를 통해 얼마나 많은 시청률을 올려 큰 수익을 올려주었는가 또는 앞으로 얼마나 많은 작품으로 방송사에 실적을 올려줄 것인지가 방송사 시상식의 드러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예전부터 모배우는 '대상'받을 것을 예약하고 작품에 출연했다는 루머가 돌았으니 말이다.


세월호 유가족들에게 '힘내라'는 말을 수상소감으로 남긴 박영규. 이변이 없던 시상식이라도 감동은 남았다.


방송 3사의 연기대상을 두고 많은 네티즌들이 결과를 예상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그 예측은 맞았다. MBC는 '왔다 장보리'의 이유리가 SBS는 '별에서 온 그대'의 전지현이 KBS는 '정도전'과 '가족끼리 왜 이래'의 유동근이 대상을 받았다. 방송 3사의 연기대상 모두 공통적으로 이변이 없었다. 공중파의 위기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니 배우에게 은혜갚음을 굳이 하지 않더라도 시청률을 크게 의식한 결과였을 것이다. 개인적인 기준으론 그나마 KBS의 시상 결과가 그중에서 가장 공정하고 시상식답지 않았나 싶다. 평소 KBS 드라마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편인데 이런 시상식은 의외로 긍정하게 되는 걸 보면 공중파의 연륜을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나보다.


시청률이 배우를 평가하는 유일한 기준이 되어야하는가 - 해마다 연기대상이 방송될 때 마다 올라오는 질문이다. 시청률을 기준으로 시상자를 결정한다는 것은 수상식 결과가 뻔하다는 뜻과 같다. 시청률 수치는 드라마의 인기에 따라 고정되어 있고 다른 변수가 개입될 여지가 별로 없다. 방송사로서는 생방송, 쪽대본 촬영으로 고생한 드라마와 배우에 상을 주고 싶은 것이 당연하겠지만 시청률 수치가 곧 드라마의 품질이자 배우의 연기력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시청률에 따라 수상자가 결정된다면 각 방송사 마다 그렇게 화려하고 거창한 시상식까지 개최할 이유가 있을까 싶다. 각 방송사의 연기대상 시상식이 '전파 낭비'란 지적이 나오는 것도 그 때문이다.











특히 SBS나 MBC의 경우 시청률은 그만저만 해도 좋은 평가를 받았던 배우, 드라마들이 약속이나 한듯 수상에서 제외되었다. MBC의 '개과천선'의 김명민이나 SBS '비밀의 문' 한석규, '괜찮아 사랑이야'의 조인성, '신의 선물' 조승우 등 연기 만으로 보면 최우수상을 받아도 아깝지 않은 배우들이 연기상 수상 결과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은 2014년 연기대상 시상식의 가장 큰 아쉬움이다. 방송3사의 연기대상이 통합되어 경쟁이 치열했다면 또 모를까 누구나 하나쯤 상을 받는다는 방송사 시상식에서 뒤켠으로 빼놓은 작품들은 시청률 지상주의의 폐해가 아닐까 싶다.


그나마 방송3사의 연기대상을 빛나게 만든 것은 故 김자옥에 대한 공로상 시상이다. 암투병으로 11월 세상을 떠난 김자옥은 수많은 드라마로 시청자들을 감동시킨 배우였다. 동료 배우들과 후배 배우들이 함께 아쉬워하는 자리를 만든 것은 연기대상이 꼭 시청률을 평가하는 자리만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 분명한 증거였을 것이다. 드라마에서 꼭 필요한 연기를 펼치고 있음에도 수상후보에 오르지 못한 중견연기자들이 많다. 故 김자옥의 공로상 수상은 시청률 우선인 각 방송사의 변명이자 생색내기일 수도 있겠지만 드라마 연기자들을 위한 뜻깊은 자리였다.


중견 연기자들의 무게가 느껴지는 그들의 수상 소감


또한 MBC에서 '오만과 편견'으로 황금연기상을 수상한 최민수의 수상거부, KBS에서 세월호 유가족들에 힘내라는 말을 전하며 자식잃은 동병상련의 감정을 보여준 박영규, 사극의 의미와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운 드라마의 의미를 이야기한 대상 수상자 유동근의 발언은 시청자들에게 무거운 울림을 준다. 한때 유명배우로 스타의 시기를 거쳤든 무명으로 시작해 연기력을 인정받는 배우가 되었든 간에 평생 연기자의 길을 걸어오고 배우가 되기 위해 노력한 그들의 삶은 시청률로 평가하기엔 너무 아까운 시간이었다. 다른 어떤 수상자들의 소감 보다 우리 나라의 슬픔을 위로한 그들의 소감이 화제가 된 것은 당연하다.


사람들은 왜 드라마를 보며 울고 웃을까. 가끔은 시청자들의 꿈을 이야기하고 가끔은 시청자들의 인생과 너무 닮은 삶을 이야기하는 드라마에 감정이입을 하고 공감하기 때문에 혹은 이야기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기 때문이다. 요즘은 시청률이 높지만 좋은 드라마라고 하기엔 많이 부족한 드라마들이 늘었다. 작품성을 드라마의 기준으로 삼기 힘든 드라마 제작사와 방송사의 속사정도 있겠지. 그래서 2015년 올해에도 한국 드라마에 바라는 희망은 여전히 작년과 같다. 시청자들의 삶을 담고 시청자들의 속내를 담은 드라마가 좀 더 많이 제작되길. 시청자들을 울고 웃기는 드라마도 좋지만 10년 뒤에도 생각날 수 있는, 여운이 긴 드라마가 방송되길 - 그리고 2015년 연기대상 시상식은 시청률 보다는 배우들의 연기력을 좀 더 높이 평가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해본다.





728x90
반응형